10.29 이태원 참사 1주기를 맞아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는 1주기 학술대회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태원 참사 1주기 학술대회는 아래와 같이 다섯 세션으로 진행됩니다.
○ 1세션 : 권리와 안전_권리를 배제한 재발방지 대책 비판
○ 2세션 : 재난과 공동체_한·중·일의 사례
○ 3세션 : 재난과 축제_이태원과 핼러윈
○ 4세션 : 재난과 지역_재난의 일상화와 시민참여
○ 5세션 : 재난의 지구화와 연결_레질리언스 소사이어티
첫째날(10월24일)
세션1. 재난과 권리_권리를 배제한 안전대책 비판
사회 : 권영국(중대재해전문가넷 공동대표)
발표1 권리기반 관점에서 원인규명과 지역사회 회복의 중요성 : 최희천(생명안전 시민넷)
발표2 세월호 참사이후 피해자 지원대책의 문제와 한계 : 조인영(공익인권법재단 공감)
발표3 권리의 부재, 책임의 실종, 윤석열 정부 안전패러다임 전환 비판 : 전주희(서교인문사회연구실)
토론1 랑희(인권운동공간 활)
토론2박성현(4.16 재단)
토론3정정훈(서교인문사회연구실)
세션2. 재난과 공동체_한·중·일의 사례
사회 : 양명희(중앙대)
발표1 축제에서 참사로-상하이 와이탄 압사사건을 중심으로 : 이석현(조선대 재난인문학연구단)
발표2 아카시 불꽃축제 압사사고 : 야마 요시유키(간사이가쿠인대학 재해부흥제도연구소)
발표3 사회적 참사에 대한 지역 청소년들의 기억행동 및 연대 : 강희숙(조선대 재난인문학연구단)
토론1 정면(서강대)
토론2 이주호(세한대)
토론3 남서현(세월호 희생자 남지현 언니)
세션3. 재난과 축제_이태원과 핼러윈
사회 : 이두찬(문화연대 문화정책센터)
발표1 왜 피해자 목소리에 귀기울이지 않는가 : 랄라(다산인권센터)
발표2 이태원참사, 애도의 위계를 넘어서기 위하여 : 이해수(고려대 미디어학교육연구단)
발표3 애도와 추모의 사회적 권리와 공간 : 박이현(문화연대)
라운드테이블 : 유가족/생존자/지역주민/자원활동가/미디어팀
둘째날(10월25일)
세션4. 재난과 지역 : 재난의 일상화와 시민참여
사회 : 김혜진(생명안전 시민넷)
라운드테이블1(사례발표)
-세월호, 안산공간을 중심으로 : 라은영(A-teen 쉼표 대표)
-이태원, 상인과 유가족의 관계 : 자캐오 신부
-포항지진, 시민참여 사례 : 에이팟코리아
-광주 시민상주모임 사례 : 시민상주모임
-오송지하차도 참사 공동대응 사례 : 정미진(오송참사 대책위)
라운드테이블2(토론회)
- 시민참여를 위한 과제
세션5. 재난의 지구화와 연결성
사회 : 차지호(카이스트)
주제1 다이앤 마주라나(터프츠 대학교)
주제2 스캇 놀즈(카이스트)
주제3 김현(미네소타 대학교)
토론1 이태원 유가족 협의회
토론2 강곤(인권기록센터 사이)
토론3 정형준(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위원장)
공동주최
10.29 이태원참사 시민대책회의, 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국회생명안전포럼, 조선대 인문학연구원, 4.16연대, 김용균재단, 다시는(산재피해자가족네트워크),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기본소득당, 진보당, 녹색당
주관
10.29 이태원참사 시민대책회의
후원
진실의 힘